[간단정리] Domain, Host, URL, URI 용어 정리

2024. 6. 29. 11:42·개발메모/간단정리

개요

인터넷과 웹사이트 관리를 하다 보면 Domain, Host, URL, URI와 같은 용어들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용어들의 정의와 차이점을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Domain이란?

Domain은 인터넷 상에서 웹사이트의 주소를 의미합니다. 사람들이 웹사이트를 쉽게 기억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google.com과 같은 주소가 도메인입니다.

 

주요 특징

  • 쉽게 기억할 수 있음: 숫자와 복잡한 IP 주소 대신 사용됩니다.
  • 고유성: 각 도메인은 유일무이하며 중복될 수 없습니다.
  • 계층 구조: 서브도메인, 2차 도메인, 최상위 도메인(TLD) 등으로 구성됩니다.

예시

  • google.com: 구글의 주요 도메인
  • maps.google.com: 구글 맵의 서브도메인
  • example.org: 예시로 사용되는 도메인

2. Host란?

Host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 또는 컴퓨터를 의미합니다. 웹사이트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주요 특징

  • 서버의 역할: 웹사이트 파일을 저장하고, HTTP 요청에 응답합니다.
  • 연결의 중심: 웹사이트와 인터넷 사용자 사이를 연결합니다.
  • IP 주소: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며, 도메인을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시

  • 192.168.1.1: 로컬 네트워크에서 흔히 사용되는 IP 주소
  • 54.239.26.128: 아마존 웹 서비스(AWS) 호스트 서버의 예시 IP 주소

3. URL이란?

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자로, 인터넷 상의 자원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열입니다. 사용자가 특정 웹페이지나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주요 특징

  • 전체 경로: 프로토콜, 도메인, 경로, 파일명 등으로 구성됩니다.
  • 세분화: 특정 페이지나 파일로 바로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 가독성: 사람이 읽기 쉽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시

  • https://www.example.com: 기본 URL
  • https://www.example.com/about: about 페이지로의 URL
  • https://www.example.com/blog/article1.html: 특정 블로그 글로의 URL

4. URI이란?

URI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약자로, 인터넷 상의 자원을 식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URL도 URI의 한 종류입니다.

 

주요 특징

  • 식별 기능: 자원의 위치뿐만 아니라 이름까지 식별합니다.
  • 종류: URL, URN(Uniform Resource Name) 등이 포함됩니다.
  • 범용성: 자원의 위치나 이름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예시

  • https://www.example.com: URL 형태의 URI
  • urn:isbn:0451450523: ISBN을 사용한 URN 형태의 URI

5. 각 용어의 차이점

URI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약자로, 인터넷 상의 자원을 식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URL도 URI의 한 종류입니다.

 

Domain vs Host

  • Domain: 기억하기 쉬운 이름 (예: google.com)
  • Host: 웹사이트를 호스팅하는 서버 (예: 192.168.1.1)

 

URL vs URI

  • URL: 자원의 위치를 나타냄 (예: https://www.example.com/page)
  • URI: 자원의 식별자 역할, URL 포함 (예: https://www.example.com/page, urn:isbn:0451450523)

 

정리

  • Domain은 사용자 친화적인 주소
  • Host는 웹사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 URL은 자원의 정확한 위치를 나타냄
  • URI는 자원의 식별자, URL 포함

'개발메모 > 간단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정리] {JSON}, <XML> 이란?  (0) 2024.07.18
[간단정리] 메세지 큐(Message Queue)란?  (1) 2024.07.13
[간단정리] Java에서의 Hash(해시) 함수  (0) 2024.03.14
[간단정리] HTTP Request Method 종류 및 특징  (0) 2023.02.03
[간단정리] JDK Dynamic Proxy vs CGLib Proxy  (0) 2023.01.04
'개발메모/간단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간단정리] {JSON}, <XML> 이란?
  • [간단정리] 메세지 큐(Message Queue)란?
  • [간단정리] Java에서의 Hash(해시) 함수
  • [간단정리] HTTP Request Method 종류 및 특징
99CORN
99CORN
1990.09.17
  • 99CORN
    넌 잘하고 있어
    99CORN
  • 전체
    오늘
    어제
    • -
      • IT
        • 잔기술
        • 네트워크
        • 면접 예상 질문
      • JAVA
        • 알고리즘
        • 기타
      • PHP
        • 기초
      • C#
        • 기초
      • 개발메모
        • 간단정리
        • WEB
        • 면접준비
        • 기타
      • 블랙홀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링크

    • forl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캐시스탬피드
    http 상태
    stack
    php 배열관련 함수
    OpenFeign
    SERVER 환경변수
    자바
    sort
    기본문법 정리
    Java
    springboot + graphql
    https status code
    vParam
    HTTP
    docker
    php
    격리수준
    graphQL
    Queue
    console.table()
    JsonVue
    알고리즘
    Algorithm
    문자열 대표 클래스
    c#
    JDK Dynamic Proxy
    web
    JavaScript
    웹개발
    선택정렬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2
99CORN
[간단정리] Domain, Host, URL, URI 용어 정리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