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쿠키(Cookie), 세션(Session) 각각 특성 및 차이 확실히 분류하기 |
메모
1. 공통점 : 웹 통신간 유지하려는 정보(ex:로그인 정보 등)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2. 차이점 : 저장위치, 저장형식, 용량제한, 만료시점 등 (해당 포스트 하단에 '표'로 정리됨) 쿠키 : 개인 PC에 저장됨. 세션 : 접속중인 웹 서버에 저장됨. * 위 내용 관련하여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 참고하세요~ |
내용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 HTTP 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1. Connectionless 프로토콜 (비연결지향)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Request)을 했을 때, 그 요청에 맞는 응답(Response)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처리방식이다. - HTTP 1.1 버전에서 연결을 유지하고, 재활용 하는 기능이 Default 로 추가되었다. (keep-alive 값으로 변경 가능) 2. Stateless 프로토콜 (상태정보 유지 안함)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 방식이다. 클라이언트와 첫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았다 해도, 두번째 통신에서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계속 인증을 해줘야 한다. 하지만 그것은 매우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다. 또한 웹페이지의 로딩을 느리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그런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방법이 바로 쿠키와 세션이다. 정리하면, 클라이언트와 정보 유지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쿠키와 세션이다. Q. 세션을 쓰면되는데 굳이 쿠키를 사용하는 이유? A. 세션이 쿠키에 비해 보안도 높은 편이나 쿠키를 사용하는 이유는 세션은 서버에 저장되고, 서버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을 경우 소모되는 자원이 상당하다. 이러한 자원관리 차원에서 쿠키와 세션을 적절한 요소 및 기능에 병행 사용하여, 서버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며 웹사이트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쿠키(Cookie) HTTP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어떠한 웹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그 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이다. HTTP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의 PC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정보를 참조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다.
일정 시간동안 같은 사용자(브라우저)로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술이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방문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한 시점으로부터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여 연결을 끝내는 시점을 말한다. 즉, 방문자가 웹 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고 그것을 세션이라고 한다.
|
'개발메모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console 객체를 통한 로깅(console.log, console.table) (0) | 2024.03.17 |
---|---|
웹 캐시(WEB Cache)란 무엇인가?(특징) (1) | 2019.07.29 |
웹 브라우저 동작 과정 + Script 및 CSS 삽입 위치 효율성 (0) | 2019.07.16 |
jQuery .ready() vs .onload() 특징 및 차이 (1) | 2019.07.16 |